최근 코스닥 공모주 시장이 눈에 띄는 변화를 겪으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 ‘공모가 거품’이라는 불신을 산 시장이 상장 직후의 급등락이 줄어들고, 평균 수익률이 크게 향상되면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신규 상장한 48개 기업 중 34개 기업이 공모가를 웃돌며, 평균 수익률이 40.65%에 달하는 등 실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신규 상장주 중 최고 수익률이 266.91%에 이르렀으며, 최저 수익률도 지난해에 비해 개선된 -53.6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시장 전반의 수익률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변화에는 상장심사 요건 강화와 기관 투자자 배정 제도의 개편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지난 1월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통해 코스닥 상장 요건을 대폭 강화하였으며, 시가총액 기준을 기존 40억원에서 150억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매출액 기준도 30억원에서 50억원 이상으로 변경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기업의 질적 평가를 엄격히 하고, 내부 통제와 회계 투명성을 주요 평가 항목으로 포함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많은 플랫폼과 바이오 중심의 기업들이 실적 대비 과도한 밸류에이션을 부여받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적자 기업들이 미래의 예상 실적을 근거로 공모가를 산정하는 구조가 생겨났고,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피해가 발생하는 일도 빈번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상장 심사 기준의 강화로 인해 이러한 문제들이 점차 해결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또한, 기관 투자자들의 청약 행태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공모주를 상장 당일 대량으로 매도하여 단기 차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최소 15일 이상 의무 보유를 약속한 기관에 전체 배정 물량의 40%를 우선 배정하는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공모가 산정에 대한 신중함이 더해졌습니다.
물론 상장 요건의 강화는 중소·혁신기업의 자금 조달 기회를 위축시킬 우려도 존재합니다. 특히 기술특례상장은 매출이나 이익 요건 없이 기술성 평가만으로 상장이 가능했던 제도로, 올해부터는 연간 매출 30억원 이상 요건이 신설되어 기업 수가 지난해 42개사에서 22개사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벤처 캐피탈과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경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상장 요건 강화가 투자자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강조합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의 황세운 연구위원은 기술특례상장 이후 상장 기업들의 실적 편차가 커지고, 적자 기업 비중이 높아 주가가 부진한 경향을 지적하며, 요건 상향이 불가피하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시장 진입 기준을 높여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바람직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코스닥 시장의 변화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39422?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