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이끄는 한국형 AI 혁신의 새로운 지평

최근 KT가 주최한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와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이번 행사는 KT가 국내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AI 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된 중요한 행사이다. KT는 AI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 두 가지 주요 이벤트를 개최하였다.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는 대기업의 LLM 인프라를 AI 스타트업에 개방하고,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최적화된 AI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정부 사업으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였다. KT는 이번 챌린지에 수요기업으로 참여하여 중소기업과 협력함으로써 AI 사업화를 위한 기술 파트너를 발굴하고, 자사의 LLM 모델인 ‘믿:음 K’를 스타트업에 제공하였다.

이번 챌린지에는 총 148개 스타트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KT는 기술역량 평가를 토대로 최종 6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이들 스타트업들은 AI 보안, 소상공인 콘텐츠 생성, 건설 현장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KT는 이들과 협력하여 공공, 교육, 소상공인 등 핵심 분야에 맞춘 AI 솔루션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KT는 스타트업들에게 개발에 필요한 지원과 솔루션에 대한 기술검증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술적 신뢰성을 높이고 사업화를 위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KT는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를 개최하여 AI 모델인 믿:음 K와 SOTA K를 활용한 AI Agent 개발 경진대회를 진행하였다. ‘한국적 AI로 상상하고 창조하라’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해커톤에는 1500명의 대학생, 일반인 및 개발자가 참여하였으며, 약 한 달 반의 기간 동안 예선과 본선을 거쳐 다양한 AI 아이디어가 선보였다. 해커톤에서는 B2B 및 B2G AI Agent 개발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하여 SOTA K 기반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믿:음 2.0’ 활용 분야에서는 ‘직무 교육 개인화 학습 에이전트’를 개발한 팀이, ‘SOTA K’ 활용 분야에서는 ‘역사 인물과의 대화’ 서비스를 선보인 개인 참가자가 각각 대상을 수상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직무 교육 개인화 학습 에이전트’는 실용성과 서비스 확장 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역사 인물과의 대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KT는 이번 해커톤을 통해 한국형 AI 모델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다수 발굴하였다. 이로 인해 KT는 앞으로도 다양한 기업 및 개발자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AI 기술 적용과 생태계 확장에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배순민 KT 기술혁신부문 AI Future Lab 상무는 “경진대회를 통한 창의적 인재 발굴과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한 실용적 솔루션 개발이 AI의 건전한 발전을 도울 것”이라며, “AI 기술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산업 혁신에 기여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KT는 앞으로도 개방형 협력과 기술 공유를 통해 AI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3010168?sid=105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