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팝과 오락실 문화가 결합된 창업의 흐름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한 취미를 넘어, 개인의 열정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성공적인 사업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덕후’라는 용어는 일본어 ‘오타쿠’에서 유래된 것으로, 특정 분야에 깊은 애정을 가진 이들을 지칭한다. 이들은 자신의 관심사를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데에 성공하며,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바로 그런 사례 중 하나로, ‘덕업일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네이버웹툰은 그의 열정을 바탕으로 시작된 사내벤처로, 2024년에는 나스닥에 상장하기에 이른다. 그는 좋아하는 일에 몰입하여 자신의 취향을 직업으로 변화시키며, 이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취미가 어떻게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최주홍 대표가 이끄는 ‘지피유엔’은 서브컬처 게임 개발사로, 그 역시 어린 시절의 오락실 경험이 지금의 경로를 결정짓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인디게임 개발팀을 결성하고, 비행 슈팅 게임 ‘백설공주’를 출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의 경력은 20년이 넘으며, 수많은 히트 게임의 론칭에 기여한 바 있다. 현재 그는 ‘프로젝트 테라리움’이라는 새로운 게임을 개발 중이며, 이 게임은 외계 생명체와의 대결을 주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이미 여러 투자자로부터 70억 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하며, 그의 비전이 실현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양준영 대표의 ‘키노라이츠’는 한국의 로튼토마토를 목표로 한 영화 콘텐츠 리뷰 플랫폼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수많은 영화를 감상하고 블로그에 기록해왔으며, 신뢰할 수 있는 영화 리뷰 플랫폼의 필요성을 느껴 창업을 결심했다. 그의 팀은 한국 영화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모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며, 영화 추천 시스템을 도입하여 유저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키노라이츠는 현재 월간 활성 방문자 수가 100만을 넘어섰으며,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약 50억 원의 누적 투자를 유치했다.
시계 마니아인 유호연 대표가 이끄는 ‘테이밍랩’은 중고 명품 시계 거래 플랫폼으로, 그는 서울대 조경학과 학생으로서 시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시계 수리 명장에게 수리를 배웠고, 현재는 국내외 바이어와 개인 판매자를 연결하는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테이밍랩은 최근 여러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아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 외에도 팬덤을 기반으로 굿즈를 제작하는 ‘쿠키플레이스’와 한류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스타트립’ 등 다양한 스타트업이 덕후들의 열정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스타트업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처럼 덕후들이 창업자가 되는 이유에 대해,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강한 근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열정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이들의 도전이 앞으로 어떤 혁신을 이끌어낼지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60630?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