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벤처기업협회가 발표한 ‘벤처기업 산업구조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국내 벤처기업의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며 첨단산업 중심으로 재편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IT와 소프트웨어 같은 기술 기반 서비스업의 성장은 벤처기업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014년부터 2024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벤처기업 수는 2만4636개에서 3만5857개로 증가하며 연평균 3.8%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 중 서비스업 벤처기업은 연평균 7.4% 증가하여 기업 수가 두 배 이상 확대되었습니다. 반면, 제조업 벤처기업은 연평균 1.6% 증가에 그쳐 전체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제조업 벤처기업은 2014년 67.6%에서 지난해 54.5%로 줄어든 반면, 서비스업은 30.3%에서 42.6%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과거 제조업 중심의 벤처기업 구조가 IT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기술 기반 서비스업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첨단산업 벤처기업 수는 연평균 4.0% 증가한 반면, 일반산업은 3.4% 증가하여 2021년부터는 첨단산업의 비중이 일반산업을 초과하게 되었습니다.
신규 벤처기업 수는 2020년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에는 4708개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감소세의 주요 원인은 제조업의 신규 진입 감소로, 서비스업은 지난해 반등하여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2020~2024년 평균 신규 벤처기업 수 감소율은 제조업이 -10.4%, 서비스업이 -2.2%로 나타났습니다.
벤처기업의 25대 업종을 분석한 결과, 12개 업종은 확대되고 13개 업종은 축소되었습니다. 특히 연구개발서비스는 연평균 증가율 19.1%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고, 신규 진입 순위에서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도소매 업종 역시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이며 신규기업의 대표 업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 벤처기업은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및 과학 기술 서비스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체 산업과 비교할 때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이후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통신, 기타 서비스 업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벤처기업의 특정 업종 쏠림 현상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벤처기업이 기술 기반 산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하여 경제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지원 정책과 제도가 과거에 머물러 있어 산업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유연하고 혁신적인 규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381561?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