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의 새로운 길을 여는 경진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모험·도전적 AI 스타트업 투자대상 발굴 경진대회’가 오는 11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경진대회는 혁신적인 기술력과 잠재력을 갖춘 초기 단계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기존의 투자 심사 절차와는 달리, 경진대회는 매출액과 같은 정량적 실적보다는 기술적 우수성과 비즈니스 모델의 독창성을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어, 혁신성과 성장 잠재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IF(한국 IT 펀드) 기반의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초기 기업들이 직면한 투자 유치의 장벽을 허물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이번 대회는 업력 3년 이하의 스타트업이나 투자 유치 실적이 없는 기업에 심사 단계에서 가점을 부여하여, 그간 투자에서 소외된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특히 모험적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려는 대회 취지와 잘 맞아떨어진다. 과기부는 오는 12월 18일 최종 결선 무대에 오를 8팀을 선정할 예정이다. 결선에 진출한 팀들은 총 8000만원의 상금과 함께 실제 투자 유치의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후속 지원으로는 투자 유치 전략 수립을 위한 멘토링과 컨설팅이 제공되며, 과기부의 다양한 지원사업과 연계된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다. 특히 상위 3팀은 KTOA에서 운영하는 입주공간과 해외 IR 행사 참여 기회까지 제공받아, 빠른 성장과 도약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러한 후속 지원은 스타트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대회에서는 초기 및 모험 투자 경험이 있는 벤처 투자사(VC), 액셀러레이터(AC), 대학 기술지주, 대기업 VC(CVC), AI 기술과 창업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특히 실리콘밸리에서 직접 투자를 집행하는 VC도 포함되어 있어, 이번 대회의 의미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혁신적인 기업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것은 스타트업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류제명 2차관은 대회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하며, “벤처라는 개념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투자 방식보다 더 모험적으로 투자 사각지대에 놓인 혁신적인 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앞으로도 훌륭한 기술력과 아이디어를 가진 AI 스타트업들이 도전을 지속할 수 있도록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지원 체계를 더욱 고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AI 스타트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많은 기업들이 경진대회를 통해 투자 유치에 성공하고, 혁신적인 기술로 산업을 선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3017518?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