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국의 디지털산업이 총 1261조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 산업의 14.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4 디지털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산업 종사자 수는 202만명으로 전체 산업 종사자의 7.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산업이 제조업 매출의 절반을 넘어서는 성장을 이룬 것을 의미하며, 전통적인 제조업 의존 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3년 디지털산업의 매출액은 2022년의 1141조원에서 10.5% 증가한 수치로, 이는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디지털기반산업이 532.8조원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였고,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관련산업이 408조8000만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디지털 도소매업과 디지털 금융업이 각각 92조원과 316.8조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디지털 활용 수준을 살펴보면, 단순히 컴퓨터를 도입한 단계에 있는 기업이 35.5%, 전자문서와 온라인 거래를 활용하는 단계에 있는 기업이 61.4%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경영 전반을 디지털 기술로 혁신하는 단계에 있는 기업은 3.1%에 불과해, 디지털 전환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인프라 시스템 투자와 사업 전략 수립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기술을 의사결정과 영업활동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화가 거래 방식에도 뚜렷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디지털산업의 디지털 주문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61.5%에 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플랫폼 활용산업의 경우 이 비중이 85.1%로 매우 높습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AI 반도체 등의 기술 개발과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디지털산업의 매출 증가와 함께 AX(AI 전환) 및 DX(디지털 전환)를 통한 산업 혁신과 생산성 향상이 중요하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디지털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면밀히 파악했으며, AI 관련 기술에 대한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AX 전환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447413?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