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뉴스1 미래유통혁신포럼(RFIF)’에서 염재호 총장과 최재식 KAIST 석좌교수가 대담을 나누며 AI 시대의 유통업계 변화에 대한 전망을 공유했다. 이들은 앞으로 유통산업이 일반적인 시장을 넘어 소수의 특정 소비자를 겨냥한 ‘니치 마켓’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총장은 AI의 활용이 유통 산업의 고도화를 이끌어낼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현재 오픈AI, 구글, 아마존 등 대형 기업들이 AI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는 상황을 언급했다. 그는 AI를 겁내지 말고, 오히려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유통업계가 AI를 통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일본의 소니 사례를 들어, 단순히 대량 생산에서 벗어나 제품의 디테일한 부분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유통업체가 대량 생산 체제에 의존하기보다는 각 고객의 특성과 필요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로 전환해야 함을 시사한다. 염 총장은 강력한 AI 활용 전략 없이 대량 생산 체제만으로는 중국 등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점을 경고했다.
최 교수는 이러한 변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리더십’을 지목했다. 그는 AI를 통해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에 도전하고, 사회와의 대화 및 협력을 통해 유의미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사회에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것이 편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AI는 전문 분야에서 사람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염 총장은 한국이 가진 데이터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개인정보 보호로 인해 AI 활용에 제한을 받는 상황이 안타깝다고 언급했다. 그는 데이터의 오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AI 활용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AI 대학원에서 단순한 코딩 교육보다는 AI 에이전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과 창의적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염 총장은 한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AI를 활용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며, 일방적인 데이터 분석에서 벗어나 상호작용 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 없이는 한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경고로 마무리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09208?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