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는 ‘오픈데이터·AI 챌린지’가 오는 11월 6일부터 26일까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공모전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과제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형태로, 소상공인 맞춤형 컨설팅 등 3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발굴하고자 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실제로 공공기관에서 사용 중인 데이터를 AI 스타트업에 제공하여 국민 생활에 실질적인 가치를 더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개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과제를 출제하는 기관은 중소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이며, 이들은 중소기업 성장 및 위험 예측, 소상공인 맞춤형 컨설팅, 중소기업 통합 플랫폼 기반의 지원 사업 추천 등 다양한 분야의 과제를 제안했다. 이들 기관은 제공하는 데이터를 가공 및 비식별화하여 스타트업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공모전은 서류 심사, 본선, AI 스타트업 쇼케이스 등 3단계로 진행된다. 서류 심사는 제출된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알고리즘 개발 방향과 과제 추진 계획의 실현 가능성 등을 평가하며, 오는 12월 초에 15개의 스타트업(각 과제별 5개사)을 선정할 계획이다. 본선은 12월 10일 ‘컴업(COMEUP) 2025’ 개막식 이후 1월 말까지 실시되며, 본선에 진출한 스타트업들은 과제별 데이터 셋 전체본을 제공받고 본격적인 AI 모델 개발을 시작하게 된다.
스타트업들이 개발하는 AI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각 팀에는 1000만 원의 기술검증(PoC) 자금이 지원되며, 과제 출제기관의 실무 담당자와의 소통 체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AI 모델의 정확성, 완성도 및 발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면 발표 평가와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선정된다. 우승 및 준우승팀으로 선정된 6개 스타트업은 내년 2월 초 개최되는 ‘AI 스타트업 쇼케이스’에서 자신들의 AI 모델을 발표하고 시연할 기회를 갖는다. 이들 기업에는 창업 지원, 융자·보증, 연구개발(R&D) 등 중소기업 지원사업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참여 스타트업들에게 공공서비스 분야에서의 현장 수요와 데이터, 그리고 스타트업의 기술력이 연결되는 기회를 제공하여, 실제로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AI 모델을 발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석을 원하는 스타트업들은 K-스타트업 창업지원포털이나 중기부 누리집을 통해 자세한 정보와 신청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중기부 김우중 기획조정실장은 이 공모전을 통해 AI 기술이 공공서비스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148290?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