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단지공단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산업단지가 창업 플랫폼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단순한 입주 중심의 기존 산업단지 전략은 혁신을 제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맞춤형 지원과 투자를 통해 창업에서 재투자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3년 현재, 산업단지 내 제조창업 기업의 수는 8931개로 전체 창업 기업의 73.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 비해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로봇, 인공지능(AI), 친환경 소재와 같은 고부가가치형 창업이 늘어나고 있어 질적 고도화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단지의 인프라는 여전히 과거의 틀에 갇혀 있다. 창업 기업의 65%가 임차 형태로 입주하고 있으며, 창업 1년차 기업의 임차율은 87%에 달한다.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연구소 수준의 오피스에 머물며, 실제 생산은 외부 공장을 임대해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도약기 기업의 73%가 연구개발(R&D) 이후 양산 단계에서 자금난을 겪는 경우가 많다. 한 도약기 기업의 대표는 “제품 개발에는 성공했지만 양산 자금이 부족해 대규모 수주 계약을 이행하지 못했다”고 토로하였다.
또한, 제조창업의 8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문제도 심각하다. 창원, 구미, 부평 등 전통 제조 거점에서는 제조창업 비중이 10% 이상 감소하고 있으며, 창원산단의 경우 2019년 89.6%에서 2023년에는 69.4%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산업단지를 창업의 플랫폼으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을 내놓았다. 이 전략의 핵심은 공간, 성장, 거버넌스의 세 축으로 나뉜다.
산단공은 공간 혁신을 위해 휴폐업 공장을 리모델링하여 입주, 편의, 지원 기능을 결합한 ‘창업거점센터(KICXUP)’를 서울과 광주에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전국 28개소에서 국비 1637억원을 투입하여 맞춤형 창업지원 공간을 확충하고, 업종별 및 성장단계별로 유연한 임대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도약기 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한 단계별 프로그램도 강화될 예정이다. 초기 창업 기업에게는 교육, 멘토링,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도약기 기업에게는 자금조달, 공동마케팅, 수요 기업 연계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산단공은 비수도권 창업 활성화를 위해 중견기업과의 기술협업을 연결하는 민간 엑셀러레이팅사를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창업혁신지구(가칭)’ 지정과 ‘산업단지 창업지원협의체’ 구성을 통해 공공과 민간의 협력 기반을 넓히고, 기존 제도를 활용하여 입주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창업 입지, 보육, 투자, 회수 등 전 과정을 포괄하는 협의체 운영을 통해 ‘육성-안착-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제조창업은 산업단지의 활력과 경쟁력을 되살릴 핵심 동력”이라며, “창업기업이 산업단지 안에서 성장하고 후속 창업을 돕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24666?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