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 현장에서의 인공지능(AI) 기술 수요를 반영하여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산·학·연 협력체가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30일 발표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AI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기관과 기업들이 협력하여 진행됩니다. LG AI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학교와 함께 피지컬 AI 분야의 거대 모델 기술 개발을 위한 ‘LG AI 스타 인재 양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AI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NC AI는 서강대학교와 협력하여 멀티모달 AI 에이전트 시대에 적합한 실무형 AI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서울대학교, KAIST,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와 협력하여 인간 중심의 범용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AI 스타펠로우십) 사업’을 통해 우수 연구자들이 석박사 과정 이후에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노타AI, SK에너지와 협력하여 시각, 언어, 행동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온디바이스 제조 AI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는 크래프톤, 네이버클라우드, 원익로보틱스와 함께 시공간 데이터(4D), 다감각 정보(5S), 6대 로봇 기술(6R)을 융합한 초지능형 AI 에이전트 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는 포티투마루, 아크릴, 에이딘로보틱스와 협력하여 사람과 AI가 협업할 수 있는 지능형 에이전트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자 양성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은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산업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38301?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