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신의 새로운 시대 OPA가 제시한 클라우드 생태계 비전

인공지능(AI)이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전환기에 접어들면서 클라우드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오픈클라우드플랫폼얼라이언스(OPA)는 최근 ‘OPA 2.0’ 비전을 공식 발표하며 개방형 AI 클라우드 플랫폼 전략을 제시했다. 12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서밋 2025’에서 김홍진 OPA 의장은 이 비전을 선포하며 국가, 기업, 사용자 모두가 함께하는 협력적 생태계를 강조했다.

이번 서밋은 민간 중심의 오픈 플랫폼 생태계를 통해 AI 시대의 클라우드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으며, OPA는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 단계로 나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김 의장은 OPA의 첫 번째 단계인 ‘OPA 1.0’이 클라우드 표준화와 인력 양성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AI의 실용화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그는 데이터와 분산 운영, 글로벌 진출을 포함한 새로운 전략을 통해 AI의 활용도를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OPA가 제시한 7대 전략에는 AI 학습과 추론을 위한 인프라 지원, 데이터 유통과 관리 체계의 강화, 온디바이스 및 에이전트 기반의 분산 AI 지원, 호환 가능한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 구축, AI 인재 교육의 확대, 글로벌 공동 진출의 가속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김 의장은 이러한 전략을 통해 AI 서비스를 더욱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의장은 환영사에서 AI의 성장은 클라우드와 데이터에 의존한다고 강조하며, 데이터와 서비스가 자유롭게 연결되는 개방형 AI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가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AI 트랜스포메이션의 기반이 클라우드이며, 데이터가 산업 전반에 퍼져나가려면 개방성과 상호운용성에 기반한 민간 중심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와 정부의 지원도 필수적이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클라우드와 데이터가 AI 생태계의 핵심이라고 지적하며 단순한 인프라 투자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 정책관은 GPU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연결하는 체계가 AI의 심장 역할을 한다며 내년 예산 확대 과정에서 데이터, PaaS, SaaS 분야에 대한 지원이 더욱 필요함을 언급했다.

OPA는 지난 3년간 K-PaaS 표준화와 인재 양성을 통해 성과를 쌓아왔으며, 앞으로도 회원사와 협력하여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시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OPA 2.0 비전은 클라우드 생태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하며, AI 시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204780?sid=00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