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 2025)이 6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성황리에 개막하였다. 이번 포럼에서는 AI와 첨단 재생 기술을 주제로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고,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포럼은 조선미디어그룹의 경제 매체인 조선비즈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보건복지부의 후원을 받았다. 올해로 13회를 맞이한 HIF 2025의 주제는 ‘AI와 첨단 재생, 헬스케어의 경계를 넘다’로 설정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터를 비롯한 최신 정보통신기술(ICT)과 세포 및 유전자 치료와 같은 바이오 기술의 융합이 헬스케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오전 9시부터 시작된 행사에서는 강연과 오픈 토크를 통해 AI 및 첨단 재생 바이오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폭넓게 탐구하고, 새로운 기술이 가져올 윤리적 쟁점과 규제 과제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날 기조 강연은 차광렬 차병원·차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과 한남식 케임브리지대 밀너연구소 인공지능연구센터장이 맡았다.
김효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교수, 엄현석 국립암센터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개발연구단장, 김현수 파미셀 대표, 유원규 에이비엘바이오 연구개발본부장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무대에 올라 각자의 최신 연구 결과와 정책 제안에 대해 공유하였다. 이들은 헬스케어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핵심 기술로서 세포와 유전자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난치병 극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약 400명의 청중이 참석한 가운데,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낸 이번 포럼은 기업 관계자, 연구자, 의료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의미 있는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였다. 개막식에는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강윤진 기획재정부 국장, 한상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원장 등 각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여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비전과 방향성을 공유하였다.
김영수 조선비즈 대표는 개회사에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와 AI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번 포럼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기술들이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들과 기업들이 투자하고 있는 분야임을 지적하며, 헬스케어 산업의 도약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차순도 원장은 환영사에서 첨단 AI 기술이 신약 개발 및 의료 효율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며, 이를 통해 희귀 및 난치 질환의 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정부의 지원 정책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혁신을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은 축하 영상을 통해 헬스케어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내용을 의정 활동에 반영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밝혔다.
한상원 원장은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에 대해 기술적 진보 뿐만 아니라 의료 민주주의의 실현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이 포럼이 AI 기반의 진단 기술과 재생의료 데이터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하였다.
이번 HIF 2025는 헬스케어 산업의 혁신과 미래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의 장으로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통찰을 공유하는 귀중한 기회가 되었다. 앞으로 헬스케어 산업이 선도하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20631?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