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열린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콘텐츠-관광-지역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강조하며, 이를 위해 규제개혁과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입국 3천만을 넘어서 글로벌 관광 대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관광혁신 3대 전략’을 발표하였다.
김 총리는 외국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할 때 겪는 다양한 불편 사항, 즉 입국 절차부터 교통, 숙박, 쇼핑, 결제에 이르는 과정을 최우선적으로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강진군에서 시행된 반값 여행 프로젝트와 같은 성공 사례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벤처 스타트업 기업이 관광 산업에 창업하고 투자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는 K문화가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서 세계인의 일상에 큰 변화를 주고 있으며, 특히 K팝과 같은 콘텐츠가 한국을 찾는 외국 관광객에게 강력한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문화관광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1천600만 관광객 중 절반 이상이 K콘텐츠나 전통문화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 오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이재명 정부가 K콘텐츠와 문화관광산업을 미래의 핵심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를 뒷받침하고 있다.
김 총리는 또한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 확정으로 경주 APEC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메가 이벤트로 자리 잡았다. 그는 APEC을 통해 한국의 문화와 예술 콘텐츠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관광객들이 경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 총리는 한국 관광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비춰질 수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지역 간 교통망 부족과 열악한 숙박시설, 일부 지역의 바가지요금과 불친절한 서비스는 관광객들에게 실망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특정 문화나 종교, 국가에 대한 혐오와 과격한 시위는 관광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근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들에게 친절과 배려, 성숙한 시민의식을 실천해 줄 것을 요청하며 회의를 마쳤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49139?sid=10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