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모빌리티연구소가 23일 충남 홍성군 홍북읍에 위치한 내포지식산업센터에서 기술시연회를 개최하여 주목받고 있다. 이번 행사는 KAIST가 오랜 기간 동안 축적해온 모빌리티 관련 연구 성과를 소개하며, 이를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시연회에서는 여러 연구 성과들이 발표되었으며, 그 중에는 퓨처이브이, 도착과 같은 교원 창업기업 및 노타와 같은 협력 기업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상용화 단계에 진입한 6개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였다. 이 성과들은 재난 현장이나 전력이 부족한 도서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전력망을 구축할 수 있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장치(ESS) 전력 플랫폼’, 그리고 실제 도시와 교통 상황을 3D 가상환경으로 구현하여 교통 모니터링, 상황 예측, 재난 대응 및 정책 검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내포 디지털 트윈’ 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중소기업 물류 환경에 최적화된 자율주행 물류 로봇인 ‘중소기업 특화형 자율주행로봇’과 축소차 기반 자율주행 연구 성과를 교육 및 산업 실증 플랫폼으로 확장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AI 기술을 활용한 ‘AI 컴퓨팅센터’ 등도 소개되었다. 이와 함께, 원격으로 차량을 조정하는 ‘원격주행 발레파킹 기술’이 시연되어 대전에서 내포연구소까지 차량이 스스로 이동하고 주차를 완료하는 장면이 공개됐다.
KAIST 모빌리티 연구소의 장기태 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와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및 AI 기술의 상용화와 지역 산업 발전을 선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KAIST의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이 지역 경제 및 산업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KAIST 모빌리티연구소의 이번 기술시연회는 단순한 연구 성과 발표에 그치지 않고, 실제 비즈니스와 연계된 혁신적인 기술들이 어떻게 상용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연구 및 기술 개발 과정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며,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43779?sid=102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