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국내 AI 생태계 조성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2일, KT는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의 출범식과 ‘K 인텔리전스 해커톤 2025’의 개최 소식을 전하며, 개방형 협력과 기술 공유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의 AI 기술 적용을 촉진하고자 하는 목표를 밝혔다. 이 두 가지 행사에서 KT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고, 한국의 AI 생태계를 더욱 건강하게 성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는 대기업의 LLM 인프라를 AI 스타트업에 개방함으로써, 협업을 통해 제조, 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정부 주도의 사업이다. KT는 이를 통해 스타트업들이 자사의 LLM 모델인 ‘믿:음 K’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새로운 기술 파트너를 발굴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번 챌린지에는 총 148개 스타트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KT는 이들 중 최종적으로 6개의 기업을 선정하여 각기 다른 분야의 기술력을 활용한 AI 솔루션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KT는 스타트업들에게 기술 검증 기회를 제공하고, 공공, 교육, 소상공인 등 핵심 분야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KT는 올해 안으로 기술 검증을 마무리하고, 이후 스타트업들과의 지속적인 사업화 협력을 통해 한국의 AI 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발전을 넘어서,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AI 기술이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KT는 최근 마무리한 ‘K 인텔리전스 해커톤 2025’를 통해 AI 생태계의 전반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 해커톤은 ‘한국적 AI로 상상하고 창조하라’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1,500명의 참가자들이 AI 에이전트 개발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KT는 이 대회를 통해 자사가 개발한 ‘믿:음 K’를 활용한 B2B 및 B2G AI 에이전트 개발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한 ‘SOTA K’ 기반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했다.
대회에서 ‘직무 교육 개인화 학습 에이전트’를 개발한 팀과 ‘역사 인물과의 대화’ 서비스를 선보인 개인 참가자는 각각 대상을 수상하며, 높은 실용성과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통해 KT의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KT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기업 및 개발자와 협력하여 한국 현실에 맞는 AI 기술을 적용하고 관련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배순민 KT 기술혁신부문 AI 퓨처 랩장은 “개방형 협력과 기술 공유를 통해 AI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해 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했다. KT의 이러한 노력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한국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2957?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