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이 국내 산업의 AI 대전환을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이들은 자사의 AI 모델인 ‘엑사원’을 공개하여 다른 제조업체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차 및 선박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22일 서울 강서구 LG 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LG AI 토크 콘서트 2025’에서 임우형 공동 연구원장은 AI 모델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하여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 겸 최고 AI 과학자는 LG의 AI 모델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자부하며, 앞으로도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엑사원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AI 에이전트 ‘챗엑사원(베타)’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가 공개되었습니다. 챗엑사원은 LG 계열사에서 검증을 마친 후, 오픈AI의 챗GPT보다 10분의 1 가격으로 제공되며, 높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기업 전용 서비스로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고품질 데이터를 생산하는 AI 공장 역할을 하며,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할 데이터를 하루 안에 생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LG AI연구원은 이 기술을 통해 데이터 생산성을 최소 1000배 향상시키고, 데이터 품질도 평균 20% 이상 개선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LG AI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 AI 파운데이션 모델 지원 사업’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이 사업은 한국의 거대언어모델(LLM)을 구축하여 정부 행정 및 국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김유철 전략부문장은 AI 기술과 생태계 확보 경쟁이 기업의 문제를 넘어 국가 간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자체 생태계 확보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이화영 AI사업개발부문장은 LG가 데이터, 인재, 기술을 확보하고 있지만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을 통해 AI 모델을 산업 현장에 맞게 커스터마이즈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LG AI연구원은 바이오와 금융 분야에서도 AI 적용을 통한 신사업 발굴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행사에서는 퓨리오사AI의 AI 신경망처리장치(NPU) ‘레니게이드’와의 협업도 소개되었습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LG와의 협업을 통해 소프트웨어 통합을 완료하고 온프라미스 솔루션을 발표했다고 전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을 이끌어 나갈 것입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50869?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