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동 수단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이제 단순한 이동을 넘어,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목적기반차량(PBV)이 있습니다. PBV는 특정 목적에 맞춰 설계된 차량으로, 기존 차량의 개조가 아닌 처음부터 특정한 필요에 기반하여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큰 차별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휠체어 탑승용 택시, 이동형 카페, 캠핑카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PBV는 이제 사람들의 일상에서 점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향후 이동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시장조사업체 오리온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PBV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6.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그룹은 이 시장이 올해 130만 대에서 2030년에는 2000만 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PBV가 단순한 특수차가 아니라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아는 국내 PBV 시장에서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기아의 PV5 모델은 올해 8월부터 국내 고객에게 인도되기 시작했으며, 향후 PV7, PV9, 초소형 PV1 등 다양한 라인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특히, 기아는 우버와의 협력을 통해 PV5를 업무용 차량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PBV가 실제 서비스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V5는 택시 모델에 특화된 ‘올인원 디스플레이2’를 통해 택시 운전자가 네비게이션과 미터기를 통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택시 시장의 전동화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더불어, 케이씨모터스와 같은 특장차 전문 기업들도 PBV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PBV를 단순히 차량으로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PBV를 서비스 형태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기반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차량 제조에서 운영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PBV는 단순히 새로운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동의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는 산업 혁신을 의미합니다. 자동차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삶의 방식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는 것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도 이미 PBV를 공공 영역에 도입하여 휠체어 탑승용 택시, 이동형 병원, 라스트마일 물류와 같은 다양한 사회적 필요를 충족하고 있습니다.
이제 자동차는 단순히 ‘어디로 갈 것인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담은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PBV가 어떤 경험을 제공할지,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이 어떻게 개선될지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41032?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