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스퀘어가 이커머스 플랫폼 11번가의 지분 100%를 SK플래닛에 매각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번 매각은 국민연금과 같은 재무적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을 전액 회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SK그룹과 투자자 간의 갈등이 마무리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의 콜옵션 행사 포기로 인해 시작된 이 분쟁은 이제 2년 만에 해결 수순을 밟게 되었다.
29일, SK스퀘어는 이사회를 개최하고 11번가 지분 매각을 최종 의결했다. 이 거래가 완료되면 11번가는 SK플래닛의 손자회사로 편입되며, 이는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SK그룹의 전략적 변화를 시사한다. 특히, 이번 매각으로 H&Q코리아와 국민연금, 새마을금고 등 11번가의 투자자들은 원금을 전액 회수할 전망이다. 배당금을 포함할 경우, 원금 이상의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도 높다.
2018년, 나인홀딩스 컨소시엄은 11번가에 약 5000억원을 투자했으며, 국민연금은 약 4000억원을 출자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 투자자들은 SK스퀘어와의 주주 간 계약을 통해 자금 회수 장치를 마련했으며, 만약 5년 이내에 11번가가 기업공개에 실패할 경우 SK스퀘어가 투자자 지분을 되사는 콜옵션을 행사하도록 했다. 그러나 2023년 SK그룹은 콜옵션 행사 포기를 결정하면서, 11번가의 기업가치 하락과 배임 우려가 그 배경으로 지목되었다.
이후, 투자자들은 동반매도요구권을 통해 경영권 매각을 추진했으나 이커머스 시장의 침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 다시 콜옵션 행사 시점이 다가오자 SK스퀘어는 투자금을 상환하는 방향으로 선택을 했다. 이는 대형 출자기관인 국민연금과의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내부 요구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만약 관계가 틀어지면, SK그룹의 리밸런싱 과정에서 신규 투자 및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SK스퀘어의 11번가 매각은 단순한 재무적 거래를 넘어 SK그룹의 향후 전략과 이커머스 분야에서의 입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결정은 그룹이 당면한 여러 과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며, 향후 SK그룹의 성장 전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18354?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