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방선거의 여당 프리미엄과 민주당의 반격 전략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원도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몇 년 간의 선거에서 여당의 지지율이 두드러진 모습을 보인 강원도에서, 과연 이번에도 여당 프리미엄이 통할 수 있을까? 지난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강원도에서 8석 중 6석을 차지한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 강원도민들은 집권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아끼지 않았다. 특히, 2022년 지방선거에서 김진태 강원지사가 국민의힘 소속으로 당선된 점은 여당의 강세를 더욱 부각시켰다. 반면,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최문순 전 지사가 승리한 바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민주당은 강원 지역의 탈환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최근 당내 논의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정부의 핵심 인물로 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어 비상계엄 심판론이 대두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 또한 명태균 게이트와 같은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우상호 정무수석은 강원지사 후보로서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민주당은 이 같은 인물들로 승부수를 던지며 강원도에서의 지지를 회복하기 위해 전략을 세우고 있다.

현재 국민의힘은 강원도를 보수 텃밭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김 지사는 지난달 이재명 대통령의 춘천 타운홀 미팅에서 발언권 논란으로 재선 레이스의 신호탄을 쏘았다. 국민의힘의 한 전략통 의원은 ‘강원은 선거 때마다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동과 영서의 정서가 별개로 움직인다’며 영동 지역의 보수 성향을 강조하고, 그곳에서의 승률이 4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김 지사와 우 수석 모두 영서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어, 이번 선거에서 영동 표심이 승패를 가를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와는 대조적으로, 제주는 독특한 선거 환경을 지니고 있다. 2006년 특별자치도 승격 이후 5번의 제주지사 선거 중 3번이 무소속 후보의 승리로 기록되었다. 제주 지역의 표심은 ‘육지’의 정치적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띠고 있으며, 최근 20년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과 제주지사가 동일 정당에서 나오지 않은 사례가 없었다. 민주당 소속의 박원순 서울시장이 당선된 2014년과 2018년 선거에서는 원희룡 제주지사가 국민의힘 및 무소속으로 승리했으며, 직전 선거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당적이 다른 오영훈 제주지사가 도민들의 선택을 받았다.

민주당에서는 오영훈 제주지사 외에도 문대림, 위성곤 국회의원, 송재호 전 국회의원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오 지사가 비명계로 분류되는 만큼, 이재명 정부 하에서의 지방선거 경선은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의 호남 의원은 ‘제주 지역 정서상 현역 지사를 경선에서 배제하기 어렵다’며 ‘현역 지사 프리미엄이 얼마나 작용하는지가 관건’이라고 언급했다.

국민의힘에서도 제주와의 연고가 있는 문성유 전 기획재정부 기획조정실장과 장성철 전 도당위원장이 출마 의사를 보이고 있으나, 이번 선거 구도가 민주당에 유리하다는 의견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정가에서는 ‘이번에도 무소속 후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선거는 결국 뚜껑을 열어봐야 한다는 점에서, 양당의 전략과 지역 유권자들의 표심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73972?sid=100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