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사회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쥐다

지난 24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는 디자인이 어떻게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장이 되었다. 올해 어워드는 역대 최대 규모인 74개국에서 941개 프로젝트가 참여하며,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었다. 이 행사는 단순한 디자인 경쟁을 넘어, 디자인을 통해 사회적 이슈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었다.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의 대상을 수상한 프로젝트는 미국과 나이지리아의 협업으로 탄생한 <자자 에너지 허브>였다. 이 프로젝트는 나이지리아 농촌 지역의 만성적인 전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을 활용한 배터리 임대 시스템을 제안했다. 이 시스템은 단순히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설치가 용이한 평면 구조와 현지 자재를 활용한 자립형 설계를 통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여성들이 운영을 담당하는 경제적 자립 구조를 갖추고 있어, 사회적 가치 또한 함께 지향하고 있다.

이번 어워드는 유엔환경계획(UNEP)과의 협약을 통해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기준을 확장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팬데믹 이후 ‘회복탄력성’과 ‘연결’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다양한 프로젝트들은 디자인이 공동체를 잇는 새로운 언어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나머지 9개 본선 진출작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지구가 직면한 위기와 그 해결책을 제시했다. 조류 깃털 폐기물을 섬유로 재활용하거나 기증받은 히잡으로 극장의 의자를 만드는 등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디자인이 생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었다.

올해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처음으로 ‘라이브 심사’ 방식을 도입하여, 심사위원의 평가와 시민 투표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탈리아 ADI디자인뮤지엄의 안드레아 칸첼라토 관장은 시상식 전 인터뷰에서 “디자인의 완성도보다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서울디자인어워드를 “도시 차원의 총체적 실험실”이라고 표현했다. 이번 심사위원단은 세계 디자인계를 대표하는 인물들로 구성되어, 단순히 예쁜 제품을 겨루는 경쟁이 아니라 사회적 가치와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특히 세계디자인기구(WDO) 차기 회장인 프라디윰나 브야스는 디자인의 중심이 ego(자아)에서 eco(생태)로 이동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번 어워드가 이러한 변화를 상징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 가능성은 단순히 소재의 문제를 넘어, 혜택이 사회적 약자에게 어떻게 돌아가느냐에 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관점은 현재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며, 디자인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번 서울디자인어워드를 통해 우리는 디자인이 단순히 미적 요소와 기능성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문제 해결의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은 이제 더 이상 개인의 자아 실현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공동체와 환경을 위해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의 디자인 분야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혁신적인 디자인이 더욱 많이 탄생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201925?sid=103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