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의 혁신적 변모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산업단지를 창업 플랫폼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업단지가 단순한 입주 공간에 그치지 않고, 창업 생태계의 중심으로 자리 잡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창업과 재투자 간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여, 더욱 혁신적인 기업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2023년 한국산업단지 내 제조창업 기업 수는 총 8931개에 이르며, 이는 전체 창업기업의 73.5%를 차지한다. 비록 2019년 대비 5.3%p 감소했으나, 로봇, 인공지능, 친환경 소재와 같은 고부가가치 분야의 창업이 증가하면서 질적 고도화의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창업 기업의 65%가 임차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창업 1년차 기업의 임차율은 87%에 달해, 상당수 창업자들이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연구개발 이후 양산 단계로 나아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산업단지 내 제조창업의 8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창원, 구미, 부평 등 전통적인 제조 거점 지역에서는 제조창업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로, 창원산단의 경우 2019년 89.6%에서 2023년 69.4%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산업단지를 창업의 중심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그 핵심에는 공간 혁신, 성장 지원, 그리고 거버넌스 구축의 세 가지 축이 놓여 있다.

산업단지의 공간 혁신을 위해 산단공은 휴폐업 공장을 리모델링하여 창업 거점 센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서울과 광주에 각각 창업 지원 기능을 갖춘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맞춤형 임대공간으로, 업종별 및 성장 단계에 따라 유연하게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도약기 기업을 위한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도 강화되며, 초기 창업자들에게는 교육, 멘토링,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며, 도약기 기업에게는 자금 조달, 공동 마케팅, 수요 기업 연계 등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예정이다.

비수도권에서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중견 기업과의 기술 협업을 도모하는 민간 엑셀러레이팅사를 유치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러한 지원 외에도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창업 혁신 지구 지정을 통해 공공과 민간 협력의 기반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창업 입지, 보육, 투자, 회수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협의체를 운영하여, 창업 기업의 성장과 재투자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산단공 관계자는 “제조 창업은 산업단지의 활력과 경쟁력을 되살릴 핵심 동력”이라며 “창업 기업이 산업단지 내에서 성장하고 후속 창업을 도울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이 실현된다면, 산업단지는 단순한 제조업의 집합체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업들이 공존하는 생태계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24583?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