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의 채용 담당자는 단순한 인재 모집자가 아니라, 그 자체로 세일즈맨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소통을 통해 잠재적인 동료와의 관계를 구축하고, 조직의 비전과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박성현 리크루팅 비즈니스 파트너는 이와 같은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스타트업 채용의 플라이휠’이라는 주제로 향후 5회에 걸쳐 칼럼을 연재할 예정이다.
채용 담당자는 고객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회사의 장점과 연결하여 잠재 동료가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는 과장이나 거짓 정보가 아닌, 진정성 있는 소통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매력적인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마음가짐은 상대의 경계를 허물고, 깊이 있는 대화를 이끌어내어 서로가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채용 성공을 위해서는 내부 소통이 필수적이다. 채용 담당자는 우리 조직의 동료들과의 소통을 통해 필요한 인력을 빠르게 파악하고, 적시에 적합한 인재를 영입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역량이 아닌, 전사적인 협력이 요구되는 과정이다. 일라드 길의 하이그로스 핸드북에 따르면, 채용의 성공은 기업 브랜드 파워, 동료들의 채용 역량, 채용 담당자의 역량이라는 세 가지 요소에 달려 있다. 스타트업은 종종 브랜드 파워가 약하기 때문에, 채용 담당자는 내부 소통을 통해 이러한 약점을 보완해야 한다.
첫째, 상대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소통을 시작해야 한다. 이력서와 링크드인 프로필을 통해 후보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업무적 혹은 개인적 관심사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문제 정의를 위한 소통이 필수적이다. 채용의 배경을 명확히 하고, 구조적 문제인지 인력 부족인지 외부 요인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셋째, 인재 정의를 통해 필요한 경험과 성향을 구조화하고, 우리 조직의 환경과 장점이 어떤 점에서 어필할 수 있는지를 함께 설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채용 전략과 실행 계획을 구체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채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외부 소통 또한 중요하다. 잠재적인 인재들에게 우리 조직이 신뢰할 수 있고 매력적인 일터로 비춰져야 한다. 채용 담당자는 솔직하고 진솔한 대화를 통해 조직의 강점을 강조하면서도 부족한 점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이를 통해 상대방이 우리의 비전에 공감하고, 조직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다. 또한 경청하는 태도를 가지며, 잠재 후보자의 필요와 원츠를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타트업에서의 채용은 정서적인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세일즈 & 서비스 마인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미래 가능성에 대한 열린 소통도 필수적이다. 초기 소통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고, 신규 비즈니스 성과나 합류한 동료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후보자와의 연결을 유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질문에 답변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채용의 맥락과 배경에 대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어야 한다. 이러한 깊은 대화는 신뢰를 쌓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결국, 채용 담당자는 다양한 성향과 방식의 사람들과 만나는 과정에서 지칠 수 있지만, 회복탄력성을 갖추고 소통을 계속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진정성 있는 접근은 후보자에게 신뢰를 주며, 매일 평균 10명 이상의 후보자와 소통하는 채용 담당자는 이러한 관계를 통해 조직의 비즈니스 성공에 기여하게 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0160?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