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외감법 시행 이후 회계투명성 강화에 대한 긍정적 변화와 새로운 도전 과제

EY한영이 발표한 ‘2025 EY한영 AI, 신외감법과 회계감사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도입된 신(新)외부감사법(신외감법)이 국내 기업들의 회계투명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조사에 참여한 575명의 임직원 중 83%가 신외감법 시행 이후 회계투명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023년 조사 결과(73%)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신외감법이 기업 현장에서 점차 안정화되면서 그 효과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신외감법은 회계부정 예방과 회계투명성 강화를 목적으로 하여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표준감사시간,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등을 포함한 법률로, 그 도입 이후 기업의 재무보고 관련 프로세스와 내부통제 시스템이 개선되었다는 응답도 83%에 달했습니다. 특히 78%는 신외감법에 따른 내부회계관리제도가 기업 내에서의 횡령 및 부정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평가하며, 회계투명성의 중요성이 기업 성장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회계 투명성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2025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회계투명성 순위가 69개국 중 60위로 19단계 하락한 점은 경각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조사에 따르면 지속적인 회계 부정 발생, 기업 지배구조 개선 저하, 경영환경 신뢰도 저하 등이 그 원인으로 지적되었습니다. 보고서는 한국 시장의 회계투명성 향상을 위해 여전히 회계 부정 예방과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가오는 2027년에는 새로운 회계기준인 K-IFRS 제1118호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 기준은 손익계산서 내 영업손익 등 범주별 중간합계를 신설하고, 영업손익을 통한 손익 표시 방식을 변화시킵니다. 조사에 따르면 56%의 응답자가 K-IFRS 제1118호 도입 시 한국의 특성을 고려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50%는 재무제표 표시 변화로 인한 시장 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기업 규모에 따라 K-IFRS 제1118호에 대한 준비 상황은 상이하며, 자산 규모가 2조원 이상인 기업의 70%는 이미 준비 중이거나 완료했지만, 5000억원 미만 기업의 69%는 내년 준비 예정이거나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 도입 준비 및 영향 분석을 마친 기업은 2%에 불과해, 많은 기업들이 미흡한 대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EY한영의 이광열 감사부문 대표는 “K-IFRS 제1118호와 같은 새로운 회계기준 도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기업의 선제적인 투자와 체계적인 준비가 필수적”이라며, “특히 기업 규모별 준비 수준의 차이를 고려할 때, 대비가 늦어질 경우 시장 혼란과 신뢰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신외감법 도입 이후 회계투명성 강화의 긍정적인 변화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40113?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