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글로벌 사이버시큐리티 포럼 애뉴얼 미팅 2025(GCF 2025)’에 3년 연속으로 참가하여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과 글로벌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포럼은 사우디 정부의 후원 아래 사이버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안랩의 창립자 안철수와 강석균 대표가 함께 자리했다.
이번 포럼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통합적 발전의 확장’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안철수 창립자는 개막 행사와 사이버 이코노믹스 세션, 그리고 사이버 CxO 미팅 등 다양한 일정에 참여했다. 그는 사이버 보안이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하면서, 사이버 공격이 이제는 단순한 기술적 사건이 아닌 국가 경제와 글로벌 거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위험으로 자리 잡았음을 지적했다.
안철수 창립자는 특히 사이버 보안에 대한 투자를 단순한 비용으로 바라보지 말고, 새로운 가치와 성장을 창출하는 전략적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디지털 의존도가 높은 금융, 헬스케어, 제조, 공급망 분야가 주요 취약 섹터로 지목되며, 이러한 분야에서 공공과 민간의 협력, 그리고 국제적인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석균 대표는 포럼 첫째 날 SITE가 주관한 제3회 주요 기업인 미팅에 참석하여 글로벌 사이버보안 리더들과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AI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그는 각국의 데이터 현지화와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보안 기업이 현지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글로벌 수준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균형 있는 접근이 지속 가능한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강 대표는 AI의 역할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AI가 혁신의 도구인 동시에 공격자의 무기가 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는 AI 기반 보안 전략이 선제적이고 적응적인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안랩이 자체 구축한 ‘안랩 AI 플러스’ 플랫폼을 통해 탐지, 분석, 대응을 고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은 더 지능적이고 능동적인 보안 체계를 지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안랩의 이번 포럼 참가와 발언들은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사이버 환경에서 기업과 국가가 직면할 도전 과제들을 함께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16304?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