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안랩 창업자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국제 사이버 보안 포럼 ‘GCF 2025’에 강석균 대표와 함께 참석하여 글로벌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포럼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사이버보안부가 주최하며, 세계 각국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이 모여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장이었습니다.
안랩은 올해로 3년 연속 초청받아 포럼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특히 안철수 창업자는 ‘Center for Cyber Economics’ 세션에서 사이버 보안이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 요소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사이버 공격이 단순한 기술적 사건을 넘어 국가 경제와 글로벌 교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위험이라고 경고하며, 사이버 보안 투자를 단순한 비용이 아닌 새로운 가치와 성장을 창출하는 전략적 투자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그는 금융, 헬스케어, 제조 및 공급망 분야와 같이 디지털 의존도가 높은 섹터의 취약성을 지적하며, 공공 및 민간 부문 간의 협력과 국제적인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AI 기반의 사이버 위협, 중요 인프라 공격, 지정학적 사이버 갈등을 3대 트렌드로 지목하며, 사이버 보안이 단순한 보호의 개념을 넘어서 성장과 혁신을 위한 인프라로 자리매김해야 함을 역설했습니다.
강석균 대표는 포럼 첫 번째 날에 열린 ‘Cyber CxO Meeting’에 참석하여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AI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는 각국의 데이터 현지화 및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보안 기업들이 현지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글로벌 수준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균형 있는 접근이 지속 가능한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그의 주장은 많은 참석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AI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서도 강 대표는 AI가 공격자의 무기가 될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하며, AI 기반의 보안 전략은 지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안랩은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AhnLab AI PLUS’ 플랫폼을 통해 탐지, 분석, 대응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지능적이고 능동적인 보안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안랩은 지난해 SITE와의 합작법인 ‘라킨(Rakeen)’을 설립한 이후 현지 인프라와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중동 지역에서의 보안 생태계 확장과 경쟁력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는 안랩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전략이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3036?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