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과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젊은 연구자들

양자 과학의 세계는 현재 많은 가능성과 도전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유엔이 지정한 ‘세계 양자과학과 기술의 해’로, 이는 양자역학의 기초가 된 슈뢰딩거 방정식과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 발표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양자 기술은 신약 개발, 암호통신, 금융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과학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양자 기술의 발전을 위해, 국내 양자컴퓨팅 관련 제조기업 SDT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는 다섯 명의 젊은 연구자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박선우, 권훈범, 주지원, 길재현, 마크 랜캐스터 연구원으로, 모두 20대 초·중반의 젊은 인재들입니다. 이들은 양자 연구에 대한 호기심과 유망성을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인턴십 기회를 선택했습니다. 권 연구원은 “학문적 흥미로 시작했지만, 인턴을 통해 산업과 학문 양쪽에서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양자 기술 선진국에서 온 연구자들로, 한국의 산학연 협력이 활발한 연구환경이 인턴십 무대로서 매력적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박 연구원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주 연구원은 일본 도쿄대에서 물리공학을 공부했습니다. 랜캐스터 연구원은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전기·컴퓨터공학을 전공하며, 연세대 어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던 중 SDT에 연락해 인턴으로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전공서적에서 배운 것과는 다른, 더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주 연구원은 “양자 칩이나 정보 계산이 핵심인 줄 알았는데, 연산 과정에서 냉각기 같은 하드웨어가 필수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습니다. 권 연구원은 “학계에서 사소해 보이는 문제도 산업 현장에서는 심각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국내 유일의 양자 인턴십 프로그램인 ‘KQIC’를 통해 SDT에 합류했습니다. 그러나 인턴 연구원들은 한국의 양자 연구 환경에 대한 아쉬움도 표현했습니다. 권 연구원은 “교수 인력이 부족한 것 같다”고 언급하며, NIA의 분석에 따르면 국내 양자기술 박사급 핵심 인력이 600여 명에 불과하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는 2035년까지 이를 2500명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연구계와 산업계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박사 인력이 1000명 이상 추가로 필요하다고 합니다.

양자 연구에 대한 주변의 반응은 종종 회의적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도전이 주는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박 연구원은 “양자컴퓨팅은 고전 알고리즘이 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학문적으로 아직 빈 공간이 많은 만큼 먼저 나서면 길이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랜캐스터 연구원은 “양자컴퓨터가 곧 상용화될 텐데, 그 흐름의 초입에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의 도전과 열정이 양자 과학의 미래를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76426?sid=105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