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의 미래를 열다 과기정통부와 IBM의 협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IT 기업인 IBM과의 협력을 통해 양자컴퓨터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배경훈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IBM 왓슨 연구소에서 IBM과 양자과학기술 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는 양자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적 활용을 위해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IBM 왓슨 연구소는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반도체 등 첨단 정보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이번 협약의 성격은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양자 인프라 구축과 전문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MOU의 주요 내용은 ▲양자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연구개발 및 산업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 강화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한국의 양자과학기술 생태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컴퓨터는 기존의 컴퓨터 기술을 초월하는 혁신적인 연산 능력을 지니고 있어, AI, 신약 개발, 금융, 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양자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IBM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양자 기술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자 한다. 배 장관은 이와 관련해 “양자과학기술은 모든 산업에서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양국의 협력 관계가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MOU 체결 이후 열린 간담회에서는 IBM의 제이 갬베타 부사장을 비롯해 모더나, 올스테이트, 코넬대학교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양자기술의 미래 활용 가치와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러한 자리를 통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양자컴퓨터 기술이 가져올 산업 전반의 변화를 예측하고,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다.

한편, 배 장관은 블랙록과의 AI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개발 협력에 관한 MOU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한국과 미국 간의 기술 협력의 폭을 넓히고, 양국이 공동으로 미래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날 배 장관은 미국 에너지부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BNL)을 방문하여 기초 대형 인프라(EIC, 전자-이온 충돌기) 협력 관련 시설을 살펴보았다. BNL은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한 저명한 연구소로, 양자 정보 과학 연구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배 장관은 BNL의 핵심 연구진과 함께 양자 및 가속기 연구시설을 둘러보며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양측은 EIC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AI와 양자 기술을 기초 연구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양자 기술의 발전은 이제 시작 단계에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산업 구조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과기정통부는 IBM과의 협력뿐만 아니라 미국 에너지부와의 과학기술 협력도 강화하여 양자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첨단 분야에서의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다. 배 장관은 “국내에서 양자 기술과 AI 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초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과기정통부와 IBM의 협력은 한국의 양자 기술 생태계를 한층 더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중대한 협력의 결과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기대가 크며, 앞으로의 진행 상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1697?sid=105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