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금융권의 혁신을 위한 생산적 금융 강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7개 국내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금융권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저성장 고착화에 직면한 한국 경제의 현실을 언급하며, 금융권이 생산성이 높은 부문을 중심으로 자금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특히, 고령화 사회에 적절히 대응하는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이를 통해 금융권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생산적 금융’의 개념이 이재명 정부의 핵심 금융 공약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기업의 창업 및 성장 지원을 위해 맞춤형 자금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은행, 금융투자회사, 보험사 등 각 금융기관의 투자위험 선호도와 감수 능력에 맞춰 부동산에 집중된 자금을 혁신 성장 분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통을 강화하고, 관련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이 단순히 안정성 중심의 운영 관행에서 벗어나 기업의 성장 단계별 위험을 관리하면서도 적시에 충분한 자금을 공급해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초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한국 사회에서는 소비, 투자, 복지의 연결을 통해 금융 수요의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이를 위해 금융권이 고령층의 자금을 다양한 연금 상품이나 신탁 상품으로 유동화하여 소비와 투자의 연계를 통해 노인복지주택과 같은 사업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한 금융 연구기관장들은 정부의 생산적 금융 확대 기조와 인구 구조 변화 속에서 금융회사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면서도, 이러한 변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박정훈 우리금융연구소 대표는 과거 고도 성장기에 축적된 금융 자원이 미래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금융사가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특히 모험 자본 투자와 기업 대출을 늘리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은 기업형 벤처캐피탈 활성화를 위한 금산분리 규제 완화와 위험가중자산의 가중치 조정 필요성을 주장하며, 액티브 시니어의 증가에 따라 실버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금융 및 세제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비공식적으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금융 지주들이 요양산업 활성화를 위해 금감원이 규제 완화를 검토해달라는 건의사항을 제출했고, 이찬진 원장은 이를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는 현재 한국 금융이 미국의 관세 충격에 대비하고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음을 인정하며, 금감원이 대내외 위험 요소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기업과 소비자가 원하는 경제적 목표를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11072?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