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의 정의선 회장이 오는 14일 취임 5주년을 맞이하며, 그의 리더십 아래에서 그룹은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가 사령탑에 오른 이후, 자동차 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통상 갈등과 같은 연속적인 위기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은 취임 전과 비교해 무려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히 숫자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며 현대차그룹이 일본의 토요타와 독일의 폭스바겐과 함께 글로벌 3강 체제를 이루는 데 기여했다.
정 회장은 “혁신의 여정을 멈추지 않겠다”는 다짐을 통해, 현대차그룹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있다. 2020년 10월 취임 이후, 현대차와 기아의 합산 영업이익은 2019년 5조 6152억 원에서 지난해 26조 9067억 원으로 증가하며, 증가율이 380%에 달했다. 이는 현대차그룹의 매출액 또한 163조 8924억 원에서 282조 6800억 원으로 73% 상승한 결과로 이어졌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2022년부터 현재까지 3년 연속 최대치를 경신하며, 이는 정 회장의 비전과 리더십 덕분이라 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의 존재감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2019년 글로벌 완성차 판매 순위에서 5위에 머물렀던 현대차그룹은 2022년에는 토요타와 폭스바겐과 경쟁하는 톱3 업체로 자리매김했으며, 지난해에는 세계 시장에서 723만여 대의 차량을 판매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이루어낸 결과로, 현대차그룹의 전략적 기획과 실행력이 빛을 발한 것이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13조 86억 원의 합산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반기 기준으로 사상 처음 글로벌 시장 2위에 도약하는 기염을 토했다. 영업이익률은 8.7%로, 폭스바겐의 4.2%를 두 배 이상 초과하였다. 이는 현대차그룹이 전동화 전환기 속에서도 친환경 차종에서 좋은 실적을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2019년 37만여 대에서 지난해 141만여 대로 4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누적 판매대수는 올해 상반기에 700만대를 돌파하였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순위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자국 브랜드 판매 비중이 높은 중국 시장을 제외하면 폭스바겐과 테슬라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글로벌 수소전기차 판매량에서는 1300여 대를 기록하며 세계 1위에 올라섰다. 이러한 성과는 차량 라인업 확대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전기차 생산능력 확충 등 친환경차 체제로의 체질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정 회장이 진두지휘한 제네시스 브랜드는 품질과 디자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글로벌 판매량은 2019년 7만 7135대에서 지난해 22만 9532대로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성장은 현대차그룹의 고부가가치 차종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음을 나타낸다.
최근 미국의 저명한 자동차 매체 ‘오토모티브뉴스’는 현대차그룹의 성과를 주목하며, 정 회장을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큰 영향력을 미친 인물로 선정해 창간 100주년 기념상을 수여하였다. 그는 수상 소감에서 “혁신은 인류를 지향해야 하며, 진정한 진보는 사람의 삶을 향상시킬 때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며,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고객 중심의 솔루션을 통해 인류의 풍요로운 삶과 지구를 위한 혁신의 여정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올해에만 역대 최대 규모인 24조 3천억 원을 투자하여 차세대 제품 개발과 핵심 신기술 선점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로보틱스 분야에 대한 투자와 개발은 현대차그룹의 미래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2018년 로보틱스랩 신설 이후 2021년에는 세계적인 로봇 전문 기업인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인수하여 로보틱스를 모빌리티 산업에 통합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이동 경험을 완전히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미국에 3만 대 규모의 로봇 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며,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주력 제품군인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와 4족 보행 로봇 ‘스팟’, 물류용 로봇 ‘스트레치’ 등의 생산도 추진 중이다. 이러한 계획은 현대차그룹이 지상에서 하늘로 이동의 경계를 확장하는 AAM(Advanced Air Mobility)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2021년에 설립된 AAM 전담 법인인 슈퍼널은 최근까지 미래 항공 교통 분야의 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며, 현대차그룹의 미래 비전이 어떻게 실현될지를 보여주고 있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4074580?sid=103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