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지에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의 미래를 열다

케이지에이(455180)는 최근 개발을 마친 폐배터리 복원기를 통해 글로벌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이 회사는 24일, 미국과 일본에서 폐배터리 복원기 영업 활동을 시작했다고 발표하며, 다양한 정부 기관 및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현지 주요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미팅을 진행했다. 그 결과, 케이지에이는 긍정적인 반응을 다수 확인했다.

특히 케이지에이의 폐배터리 복원기는 납축전지에 특화된 제품으로, 미국과 일본은 전통적으로 납축전지 강국으로 알려져 있다. 존슨콘트롤즈, 에너시스, 히타치배터리, GS유아사 등 글로벌 상위 납축전지 기업들이 이들 국가에 자리잡고 있어, 케이지에이의 시장 진입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복원기는 약 3년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납축전지 복원에 최적화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인공지능(AI)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BMS)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적절한 밸런싱과 모니터링을 통해 황산납 결정화 방지를 비롯한 배터리 수명 단축의 주요 원인을 제거한다. 이로 인해 잔량 대비 최소 2배 이상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우수성을 인정받아 개발 과정에서 협력한 ‘골든 플러스’와 함께 세계한인무역협회(애틀랜타 월드옥타) 회장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의 보급 확대에 따라 납축전지 리사이클링 시장은 ‘블루오션’이자 ‘니치마켓’으로 떠오르고 있다. 납축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동일 용량 기준 가격이 3~4배 저렴하고 화재 위험이 낮아, 산업용 모빌리티, 통신기지국, 데이터센터용 UPS(무정전 전원 장치) 및 ESS(에너지 저장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은 납축전지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케이지에이의 복원기를 활용하는 수요처는 신품 배터리 대비 최대 약 50%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교체 수요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시장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개발 단계에서 해외 현장 실증 테스트를 통해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한 만큼, 빠른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과 일본을 선공략 시장으로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되었다”며, “해당 국가들은 최근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대와 맞물려 납축전지 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현지 기업들과 합작법인(JV) 설립을 통한 진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이며, “시장 안착에 성공할 경우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매출 발생이 가능한 추가 캐시카우 사업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케이지에이는 이처럼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며,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분야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가운데, 환경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72937?sid=101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