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상표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핀테크 기업인 토스(비바리퍼블리카)가 대규모 상표 출원을 통해 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6월 27일, 특허정보넷 키프리스에 따르면 토스는 총 24건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를 출원하였으며, 이들 상표는 암호화폐 금융거래, 전자이체 및 송금 서비스 등 다양한 금융 및 결제 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이는 토스의 자회사인 토스뱅크가 6월 26일에 먼저 48건의 상표를 출원한 데 이어진 추가적인 조치로, 은행권 내에서 가장 많은 상표 출원 사례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토스 관계자는 현재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시장의 분위기를 반영하여 상표를 출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주요 시중은행들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 출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KBKRW’ 등 17건을, 하나은행은 ‘HanaKRW’, ‘KRWHana’ 등 16건을 출원하였으며, 카카오뱅크와 신한금융그룹도 각각 12건과 21건의 상표를 등록했습니다. 특히 하나은행은 일부 상표에 브랜드명을 포함하여 등록하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핀테크 기업들도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PKRW’, ‘KRWP’ 등 18건을, 네이버페이는 ‘NKRW’, ‘KRWNP’ 등 5건을 출원하였으며, 게임사인 넥써쓰와 NHN도 각각 10건 이상의 상표를 출원하여 블록체인 게임 연계 사업을 염두에 두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상표 선점 경쟁은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자산 기본법’에 따라 민간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은 스테이블코인의 통화 안정성과 금융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어,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가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어떻게 이끌어갈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참조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53808?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