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노코드 AI 앱 생성 플랫폼인 패티(Patty)가 최근 북미에서 열린 ‘Elevate Festival (엘리베이트 페스티벌) 2025’에서 가장 기대되는 스타트업 중 Top 2로 선정되어 그 기술력과 시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행사는 10월 7일부터 9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되었으며, 한국벤처기업협회(KOVA)와 The Way Company(더 웨이 컴퍼니)가 공동 주관한 ‘K-Globe’ 프로그램을 통해 총 16개의 국내 스타트업이 참여하였다. 이 페스티벌은 1만 명 이상의 참석자를 기록하며, 300여 개 혁신 기업들이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북미 최대 규모의 기술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패티가 Top 2로 선정된 것은 단순한 홍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패티의 뛰어난 기술력과 시장성이 국제적인 무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패티는 비개발자도 손쉽게 자신에 맞는 AI 앱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노코드 AIaaS 플랫폼으로, 직장인부터 크리에이터까지 다양한 사용자가 별도의 코딩 없이 자신의 요구에 맞는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패티의 핵심 기술인 ‘PAWL(Patty Automation Workflow Language)’는 복잡한 프롬프트나 여러 툴을 거치지 않고도 통합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용자에게 큰 편리함을 제공하며, 많은 사람들이 AI 자동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특히 로우코드 및 노코드(LC/NC) 분야에서 패티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Gartner는 2030년까지 전 세계 기업의 핵심 애플리케이션 중 80% 이상이 LC/NC 기반으로 개발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비전문가들도 쉽게 AI 자동화를 주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다.
현장에서 만난 글로벌 벤처 캐피탈(VC)과 투자자들은 패티의 플랫폼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들은 ‘패티가 AI 활용의 기술적 장벽을 제거하고, 운영 측면까지 통합한 플랫폼’이라고 평가하며, 이로 인해 향후 패티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였다.
패티의 노시욱 대표는 “AI 자동화를 위한 복잡한 과정과 도구들을 한 곳에서 해결하고 싶었다”며, “누구나 쉽고 직관적으로 자신만의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세상을 지향한다”고 강조하였다. 노 대표는 구글과 아마존, LG 등에서 AI 분야의 리더로 활동하며, 구글 본사에서 Gemini, YouTube, Google Photo, Android 등 주요 서비스의 AI 통합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패티는 2025년 11월에 정식 런칭을 앞두고 있으며, 국내 출시와 동시에 9개 언어 버전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이미 114개국의 결제 및 세무 규정에 대한 대응을 완료하였으며, 앞으로 전 세계 사용자들이 손쉽게 AI를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할 계획이다. 패티의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이 기대되는 이유는 그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기술력 때문이며, 이는 앞으로의 AI 분야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76494?sid=105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