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이즘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이 기대되는 예비유니콘 기업으로의 도약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2025년 예비유니콘 기업 명단을 발표하며, 셀프 포토 브랜드 포토이즘을 운영하는 ㈜서북이 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고 전했다. 예비유니콘 기업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선별하여, 이들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규모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과거 컬리와 직방과 같은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이 이 과정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한 바 있어, 서북의 선정은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는 총 79개 기업이 지원했으며, 그 중 15개사가 최종 선정되었다. 선정된 기업들에게는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최대 200억 원의 특별 보증과 글로벌화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서북은 2020년에 설립된 이후로 짧은 시간 안에 글로벌 22개국에 900여 개 매장을 운영하며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스튜디오, 박스, 컬러드, 스내피즘 등 다양한 브랜드를 통해 이용자 경험을 확장하고 있으며, K-POP 아티스트 및 스포츠 구단, 글로벌 캐릭터 IP와의 협업을 통해 ‘사진 그 이상’이라는 새로운 문화 경험을 창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북의 기술적 기반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 기업은 자체 개발한 AI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 세계에 있는 수천 대의 키오스크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역과 국가별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독자적인 색감 보정 엔진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매장 간 데이터 연동 기술을 접목하여, 전 세계 어디서든 동일한 품질의 사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기술적 내재화는 단순한 운영을 넘어, 글로벌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역량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벤처 투자 업계에서도 서북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스틱벤처스, IMM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등 주요 벤처 캐피탈이 이 기업에 투자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셀프 포토 시장이 단순한 유행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포토이즘은 오프라인 네트워크와 디지털 기술을 동시에 강화하며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했다”고 강조하며, “예비유니콘 지정을 계기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행보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서북의 포토이즘은 이제 막 시작단계에 있는 셀프 포토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바이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확장을 통해, 앞으로 K-POP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이나 다양한 글로벌 캐릭터 IP와의 협력을 통해 얼마나 더 많은 혁신적인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73259?sid=103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