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푸드테크 산업을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설정하며 오는 2027년까지 유니콘 기업 30개를 육성하고 수출액 20억 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예산의 규모는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전체 예산은 18조7416억 원에 달하지만, 푸드테크 관련 예산은 겨우 64억 원에 불과해 전체 예산 중 0.02%에 해당하는 수치에 그치고 있다. 이는 과연 정부가 푸드테크 산업의 중요성을 진정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을 품게 한다.
이러한 불균형은 푸드테크 산업의 실적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농식품부가 지원한 ‘아기유니콘’ 및 ‘예비유니콘’ 기업 수는 총 41개에 달하지만, 실제 유니콘 기업으로 등재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상황이다. 이로써 푸드테크 산업의 육성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얼마나 미흡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더욱이 2025년에는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를 포함한 42억 원의 예산이 편성될 예정인데, 이는 푸드테크 산업의 성장을 이끌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국제적인 흐름 속에서 푸드테크 산업은 이미 여러 국가에서 전략적으로 육성되고 있다. 네덜란드는 ‘푸드벨리(Food Valley)’를 조성하여 세계 2위의 농산물 수출국으로 도약했고, 이스라엘은 농업 예산의 20%를 푸드테크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우리나라가 푸드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조경태 의원은 “세계 푸드테크 시장은 치열한 경쟁 속에 있으며, 우리 정부가 18조 원의 예산 중 0.02%만 투입한 채 미래를 논하는 것은 직무 유기이자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는 푸드테크 산업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정부가 푸드테크에 대한 충분한 투자와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면, 미래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이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은 자명하다.
결국, 푸드테크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의지와 더불어 실질적인 예산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 분야는 단순히 기술 개발을 넘어 식량 안전 및 지속 가능한 농업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푸드테크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우리나라의 농업 경쟁력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 푸드테크 산업의 발전이 지연된다면, 이는 결국 우리 사회 전반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조속히 정책의 전환을 단행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15070?sid=10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