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에어로 여는 새로운 통신의 시대

통신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음에도 불구하고 SK텔레콤이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1일 성수 T팩토리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SK텔레콤은 자급제 고객을 위한 디지털 통신 브랜드 ‘에어(air)’를 공식 론칭했다. 이 브랜드는 기존 통신사와는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하며, 고객의 일상 속에서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에어는 ‘SIM only’ 서비스로 자급제 단말 이용 고객을 겨냥하고 있으며, 10월 13일부터 가입 및 개통이 가능하다. 이윤행 에어 기획팀장은 기자간담회에서 통신시장이 포화된 상황에서 에어가 선택한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기존 통신사에서 제공하지 않았던 혜택을 고민하며, 디지털이라는 속성을 활용해 고객과의 만남을 통한 제휴와 혜택 제공을 모색했다고 밝혔다.

에어는 유무선 결합과 T멤버십 혜택을 포기하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입할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이 팀장은 알뜰폰과의 경쟁을 염두에 두지 않았고, 자급제 고객에게 새로운 옵션을 제공하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고객들이 통신에서 얻는 가치를 일상에서 추가적인 혜택으로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바로 에어의 출발점이다.

에어의 가입 과정은 고객 친화적이다. 별도의 앱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할 필요 없이 24시간 고객센터를 운영하며 데이터 중심의 단순 요금제와 유용한 포인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고객은 셀프 개통 방식으로 요금제를 가입하고, 핵심적인 부가서비스인 로밍, 통신편의, 보안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자급제 단말 고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단말기 판매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에어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는 ‘에어 포인트’ 시스템이다. 사용자는 에어 앱에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여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으며, 이를 모바일 상품권 구매와 요금 납부에 활용할 수 있다. 만보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포인트를 쌓고, 이를 다양한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이다. 포인트는 회선 가입과 무관하게 에어 앱 가입만으로도 적립 가능하며, 요금 납부 시 최대 5,000 포인트까지 사용할 수 있다. 포인트샵에서는 네이버페이 포인트, 편의점 상품권 등 1,000여 종의 인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기존 SK텔레콤 영업점과의 충돌에 대한 우려는 적다는 것이 이 팀장의 설명이다. 그는 유통망을 방문하지 않는 고객들이 에어에 가입할 것이라며, 기존 시장과 겹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K텔레콤은 자급제를 통해 이탈한 고객을 다시 자사로 유입시키고, 고객이 SK텔레콤의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정준영 에어 서비스팀장은 셀프 개통 시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언급하며, 전자서명을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강조했다. 보안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기관과의 논의를 통해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다짐했다. 에어는 이러한 혁신적인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통신 시장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104898?sid=105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